4일 국회 의안정보시스템에 따르면 문진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2일, 주택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개정안은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성능검사 기준 미달 시 '보완 시공'을 의무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와 함께 2회 이상 보완시공을 했음에도 성능검사기준에 미달하는 경우 관련 부처에 보완시공계획을 제출하도록 책임을 강화했다.
문 의원은 "층간소음으로 인한 불편이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음에도 보완 시공이 권고사항에 불과해 바닥충격음 방지 제도가 실효성이 부족하다"며 "제도의 실효성을 제고하고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에 기여하려는 것"이라고 법안 발의 배경을 밝혔다. 국토교통부는 올해부터 공공주택에 '층간소음 방지 1등급 기술'을 의무 적용하기로 했다. 지금까지는 시공사 자율에 맡겨졌던 층간소음 저감 조치가 이제는 설계단계부터 강제 적용되는 체계로 바뀐 것이다.
삼성물산 (175,000원 ▲700 +0.40%) 건설부문은 2022년 층간소음 전문 연구소를 설립한데 이어 대규모 체험형 연구시설을 개관하는 등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층간소음의 원인과 현황 분석은 물론 소음 저감을 위한 구조와 신공법에 이르기까지 종합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확보된 기술은 실험과 검증을 통해 공동주택 건설현장에 단계적으로 적용한다. 현대건설 (59,600원 ▼300 -0.50%)은 지난 2023년 'H사일런트 홈 시스템'을 자체 개발했다. '층간소음 제로'를 목표로 바닥시스템과 평면구조, 저주파 및 진동 제어 기술, 소음 감지 알고리즘 등 층간소음 저감 시스템 4종을 결합했다. 이를 디에이치 대치 에델루이 적용하면서 상용화에 시동을 걸었다. 대우건설 (3,770원 ▼35 -0.92%)은 완충재 전문 제조 기업인 동일수지와 공동으로 '스마트 사일런트 바닥 구조'를 개발했다. 이 구조는 경량·중량 충격음 모두 1등급 성능을 획득한 기술로 기존보다 바닥 구조를 단열·흡음 기능이 강화된 다층 구조로 설계해 체감 소음을 줄이는 데 초점을 맞췄다. GS건설 (18,740원 ▼60 -0.32%)은 LX하우시스와 개발한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가 한국토지주택공사(LH) 품질시험에서 1등급 성능을 얻었다. '고밀도 오픈셀 폴리우레탄'을 적용해 층간소음 저감 효과는 높이고 수분 흡수율이 낮아 장기간 균일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GS건설은 이를 올해 하반기 전략 수주 단지인 송파구 한양2차 재건축 단지와 성수전략정비구역 제1지구 재개발 사업 등에 적용할 계획이다. DL이앤씨 (43,250원 ▼150 -0.35%)는 실시간 진동 감지 및 알림 기능을 갖춘 'D-사일런스 서비스'를 업계 최초로 도입한 데 이어 최근 소음 기준 1등급을 만족하는 서비스도 개발했다. 업계 관계자는 "수직형 구조가 주를 이루는 국내 공동주택 구조상, 소음을 100% 차단하는 데에는 기술적 한계가 있었고 제도적으로도 미비점이 많았다"며 "제도가 강화되고 기업들의 기술 투자도 확대되면서 층간소음 해소에 실질적 개선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6 | 수리산 낀 '숲세권'… 명학역 도보 11분 거리 | 분양홈페이지 | 2025.09.06 | 2 |
» | "쿵, 쿵" 범죄 부르는 '발망치', 이젠 끝?…'조용한 아파트' 기술 경쟁 | 분양홈페이지 | 2025.09.06 | 3 |
4 | 대단지 집값 1년간 7% 올라…소규모 단지 상승률 2배 넘어 | 분양홈페이지 | 2025.09.06 | 5 |
3 | ‘얼죽신’ 열풍에 신축 아파트 강세…안양·수원·구리 분양 대기 | 분양홈페이지 | 2025.09.06 | 6 |
2 | 수리산·안양천 자연 품은 ‘안양자이 헤리티온’ | 분양홈페이지 | 2025.09.06 | 5 |
1 | 마·용·성에도 하나둘씩 나오는 ‘최고가’…서울 아파트 곳곳서 상승폭 확대 | 분양홈페이지 | 2025.09.06 |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