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보센터

"쿵, 쿵" 범죄 부르는 '발망치', 이젠 끝?…'조용한 아파트' 기술 경쟁

 


     
공동주택 층간소음 상담 건수/그래픽=조수아
공동주택 층간소음 상담 건수/그래픽=조수아
층간소음 문제가 단순히 생활 불편을 넘어 갈등과 범죄로까지 이어지는 가운데 정부와 국회, 업계가 '조용한 아파트' 만들기에 팔을 걷어붙였다.

4일 국회 의안정보시스템에 따르면 문진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2일, 주택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개정안은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성능검사 기준 미달 시 '보완 시공'을 의무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와 함께 2회 이상 보완시공을 했음에도 성능검사기준에 미달하는 경우 관련 부처에 보완시공계획을 제출하도록 책임을 강화했다.

 

현재는 바닥 충격음 성능이 기준에 못 미치더라도 시공사에 대해 보완을 '권고'하는 수준에 그친다. 이 때문에 실제 이행을 강제하기 어려웠고 보완을 하지 않더라도 법적 처벌도 미비하다. 이에 분쟁이 발생해도 입주민은 피해를 입증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많았다.

문 의원은 "층간소음으로 인한 불편이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음에도 보완 시공이 권고사항에 불과해 바닥충격음 방지 제도가 실효성이 부족하다"며 "제도의 실효성을 제고하고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에 기여하려는 것"이라고 법안 발의 배경을 밝혔다.

국토교통부는 올해부터 공공주택에 '층간소음 방지 1등급 기술'을 의무 적용하기로 했다. 지금까지는 시공사 자율에 맡겨졌던 층간소음 저감 조치가 이제는 설계단계부터 강제 적용되는 체계로 바뀐 것이다.

 

주요 건설사들도 층간소음 저감 기술 개발과 적용에 속도를 내고 있다. 자사 브랜드 아파트에 관련 기술을 본격 도입해 차별화하고 있다. 슬래브(철근콘크리트)를 두껍게 하면 층간소음을 줄이는데 효과적이지만 공사비가 늘어나 수분양자의 부담이 커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건설사들은 공사비를 크게 늘리지 않는 선에서 층간소음을 줄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에 나섰다.

삼성물산 (175,000원 ▲700 +0.40%) 건설부문은 2022년 층간소음 전문 연구소를 설립한데 이어 대규모 체험형 연구시설을 개관하는 등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층간소음의 원인과 현황 분석은 물론 소음 저감을 위한 구조와 신공법에 이르기까지 종합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확보된 기술은 실험과 검증을 통해 공동주택 건설현장에 단계적으로 적용한다.

현대건설 (59,600원 ▼300 -0.50%)은 지난 2023년 'H사일런트 홈 시스템'을 자체 개발했다. '층간소음 제로'를 목표로 바닥시스템과 평면구조, 저주파 및 진동 제어 기술, 소음 감지 알고리즘 등 층간소음 저감 시스템 4종을 결합했다. 이를 디에이치 대치 에델루이 적용하면서 상용화에 시동을 걸었다.

대우건설 (3,770원 ▼35 -0.92%)은 완충재 전문 제조 기업인 동일수지와 공동으로 '스마트 사일런트 바닥 구조'를 개발했다. 이 구조는 경량·중량 충격음 모두 1등급 성능을 획득한 기술로 기존보다 바닥 구조를 단열·흡음 기능이 강화된 다층 구조로 설계해 체감 소음을 줄이는 데 초점을 맞췄다.

GS건설 (18,740원 ▼60 -0.32%)은 LX하우시스와 개발한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가 한국토지주택공사(LH) 품질시험에서 1등급 성능을 얻었다. '고밀도 오픈셀 폴리우레탄'을 적용해 층간소음 저감 효과는 높이고 수분 흡수율이 낮아 장기간 균일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GS건설은 이를 올해 하반기 전략 수주 단지인 송파구 한양2차 재건축 단지와 성수전략정비구역 제1지구 재개발 사업 등에 적용할 계획이다.

DL이앤씨 (43,250원 ▼150 -0.35%)는 실시간 진동 감지 및 알림 기능을 갖춘 'D-사일런스 서비스'를 업계 최초로 도입한 데 이어 최근 소음 기준 1등급을 만족하는 서비스도 개발했다.

업계 관계자는 "수직형 구조가 주를 이루는 국내 공동주택 구조상, 소음을 100% 차단하는 데에는 기술적 한계가 있었고 제도적으로도 미비점이 많았다"며 "제도가 강화되고 기업들의 기술 투자도 확대되면서 층간소음 해소에 실질적 개선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